[초록]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부생과 외국인 예비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신조어의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작성한 신조어 목록을 외국인 학부생들에게 제시하여 어휘 인식도와 신조어 사용에 대한인식을 분석하였고, 외국인 예비 한국어 교사에게도 같은 방법으로 신조어 어휘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를 분석하고 목록화하였다. 외국인 학부생들과 외국인 예비 한국어 교사 모두 신조어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았지만 교수․학습의 요구는 높았다. 한정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지만 어휘 인식과 어휘 교육 요구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로 목록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향후 대학 학부생들이 사용하는 고빈도 어휘 목록을 체계화하여 교육용 신조어 어휘 목록을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the perception of neologism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foreign undergraduates and foreign preliminary Korean teachers. The list of newly coined words prepared in previous studies was presented to foreign undergraduates to analyze vocabulary awareness and perception of neologism, and the recogni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neologism were analyzed and listed in the same way for foreign Korean teachers. Both foreign undergraduates and foreign prospective Korean teachers had low awareness of neologism, but the demand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 high.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limited subjects, it is meaningful that vocabulary recognition and vocabulary education needs were analyzed and listed as priorit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ructure the vocabulary list of neologism for education by organizing the high-frequency vocabulary list used by undergraduate students in college.

저자                               이연정 (서원대학교)

                                     이주미 (아주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문화와융합

                                     제44권 제12호 통권 제100호

                                     1061 - 1072 (12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