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중도입국청소년 교육정책이 초·중등교육 지원과 직업 및 진로교육에 집중되어 있는 가운데 대학에 진학하기 원하는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정책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대학진학 중도입국청소년의 경험은 비가시화되어 왔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중국 출신 중도입국청소년 3인의 대학 진학과 미래계획 설계 경험을 중심으로 이들에게 대학교육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중도입국청소년이 대학진학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진학 후 중도입국청소년의 학습경험과 자기계발 전략은 어떠하며 개인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 미래 기획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연구참여자들은 부모세대가 경험한 이주노동자의 위치에서 이동하고자 대학진학을 선택했지만 국가와 가족 지원의 결핍 속에서 성공적인 대학 입시계획을 설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했다. 따라서 중도입국청소년 교육지원 정책은 고등교육 지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연구참여자들은 자기계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탁월한 인재와의 격차를 좁히지 못함에 따라 대학진학 이후에도 안정적인 미래를 설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대학교육이란 학력취득을 통한 주류사회로의 통합과 상향이동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 확보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그 가능성이 현실화되는 것은 어려웠다.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경험은 한국사회의 청년문제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한국의 청년정책에서 배제되어 있었다. 국적을 중심으로 논의되는 현재의 청년정책과 담론에서는 청년집단 내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주배경청년들에 관한 논의들을 포함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for immigrant youth is focused on public education at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s, and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at the high school level. As a result, policies for immigrant youth who want to go to university are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experiences of immigrant youths who became college students have also been invisibl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ree Chinese immigrant youth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in college admissions and future planning.
 The first of the research results is the participants chose to go to university to move from the position of migrant workers experienced by their parents' generation. However, in the absence of national and family suppor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designing a successful college admissions plan. Therefore, the education policy for migrant youth needs to be expanded to support higher education. Second study result is the participants made self-development efforts after going to university. Nevertheless, they failed to close the gap with individuals with neoliberal excellence. Because of this,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designing a stable future even after entering college.
 The participants expect that they would be able to integrate into mainstream society and upward mobility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turn that expectation into reality. The lif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youth problem in South Korean society. Nevertheless, they were excluded from South Korea's youth poli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current youth policies and discourses that are centered on nationality.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diversity within the youth group, discussions on migrant youth should be included in youth policy and discourse.

저자                                채소린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발행연도                         2022


형태사항                         교육인류학연구

                                      제25권 제2호

                                      267 - 304 (38 pages)